resources

  • HOME
  • 자료실
  • 정전기란?
  • 제전솔루션
제전솔루션

정전기는 플라스틱, 종이, 목재 그리고 섬유 등의 비전도성 물질을 다루는 여러 생산공정에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정전기가 문제가 된다는 것은 어떠한 경우일까요?

전기 스파크 발생

작업자에게 전기적 쇼크 전달

이물질 흡착의로 인한 생산율 저하

정전기적 반발로 생산 중 제품의 이탈발생

정전기인력(ESA)의로 인한 이물질 흡착

발화의 원인 또는 화재 위험

정전기 발생 원인

정전기는 부도체 간의 마찰 또는 박리로 인하여 주로 발생하며, 정전기 측정기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전기 발생

정전기 수치 측정

효율적인 정전기 중화 방법

부도체는 접지를 통한 방전(정전기 중화)은 불가능하므로 가장
효율적이며 지속적인 해결책은 능동적인 이온화입니다.
능동적인 이온화란 이오나이저를 이용하여 많은 양이온과 음이온을
타겟 영역 주변에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온이 공기 중에서 반대
극성을 가진 표면이나 파티클과 섞이면서 정전기 중화가 이루어
집니다.

이오나이저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어떤 것이 문제의 현장에 적절할까요?

이오나이저의 형태와 크기는 다양하며, 아래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판단으로 효과적인 선택을 하여야 합니다.

  • 이오나이저에 적용된 기술
  • 대상물과의 거리
  • 대상물의 속도
  • 대상물질의 형태 (입체적 구조 또는 평면)
  • 온도, 습도, 폭발위험 등의 환경조건
정전기 제거 장치가 다른 종류의 power supply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고전압 외부 Power supply를 사용하는 경우의 잇점;
바를 소형화할 수 있다.
최대 4개까지의 장치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뻣뻣한 고전압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고전압 케이블의 길이 및 연결부위의 처리에 안정적이다.
최적의 Power supply와 input power로 설치할 수 있다.
내장 또는 Adapter를 사용하는 경우의 잇점;
24V 직류전원 사용
유연한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케이블길이의 조절이 용이하다.
속도 500m/min이상, 거리 500mm이상의 경우 적용가능
습기가 있는 환경에 적용하기 유리하다.
일반산업

평면 대상물에 이오나이저 바 적용

롤링공정에 ThunderION 2.0 적용

입체적 구조물에 블로워 적용

파티클 제거를 위한 이오나이징 건 적용

범퍼 사출 라인에 Typhoon system 적용

이송공정 파이프에 Conveostat 적용

전자산업

웨이퍼 소터 라인에 MP바 적용

조립라인 작업벤치 위에 오버헤드 블로워 적용

협소한 작업벤치에 소형 블로워 적용

효율적인 목표 영역 제전에 이오나이징 건 적용

의료 및 제약산업

공간 제전을 위한 Room system 적용

작업 벤치 위에 오버헤드 블로워 적용